2010년에는 '1-가'와 '7' 대거 당선, 이번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전격 합당해 구성할 통합신당이 기초의원 지역구 선거에 후보를 공천하지 않음에 따라 구미시의회 의원 선거에 기호 2번은 사라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각 정당이 받을 통일 기호의 윤곽이 드러난다. 

지역구 국회의원이 5명 이상이거나, 직전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 또는 동시지방선거 지방의원 비례대표선거에서 3% 이상의 득표율을 올린 정당은 통일기호를 부여받게 된다. 

국회 제1당인 새누리당이 1번, 민주당이 2번, 통합진보당이 3번이다. 중선거구 제도 하에서 여러 후보를 낼 경우 '가, 나, 다...'식으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예를 들어 현 구미시의회 의장인 임춘구 의원의 지난 선거 당시 기호는 '1-나'였다.

정의당은 지역구 국회의원이 1명 뿐이고 재보선 말고는 정의당 이름을 걸고 치른 선거가 없기 때문에 통일기호 부여대상이 아니다. 다만 후보를 등록하게 되면 국회 원내정당 우선권에 따라 4번을 부여받는다.

구미시의원 선거에 출마가 예정된 정의당 인사는 없는 실정이다. 정의당이 등록하지 않을 경우 4번은 다른 야당이나 무소속 후보에게 돌아가게 된다.  

'1-가'는 75% 당선, '1-다'는 전원 낙선
같은 당끼리 '비교체험 극과 극'?

지난 2010년 구미시의원 선거를 다시 점검한 결과 인과관계는 명확히 규명할 수 없지만 기호와 당락간에 상관은 다소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여러 정치학자들은 투표용지 맨윗칸에 오를 경우 추가적인 득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며, 기호를 폐지하고 게재 순위를 여러개로 해서 투표용지를 찍어내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정당공천제 도입 이후 구미시의원 선거는 어땠을까? 2006년 지방선거는 별 참고거리가 되지 못한다. 2인선거구 열 군데에서 1-가 10명과 1-나 10명이 전원 당선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구미시의원 선거를 보자. '1-가'로 출전한 8명의 새누리당의 후보 가운데 6명이 당선되었다(김재상, 정하영, 김상조, 윤영철, 황경환, 이명희 의원). 전체 지역구 새누리당 당선자 9명 중 3분의 2에 해당한다. 특히 3인선거구에 출전한 4명의 1-가 후보는 전원 당선되었다.

반면 '1-나'는 8명 중 3명만이 당선되었다(김익수, 허복, 임춘구 의원). 그나마 이 세 명은 탄탄한 지역기반을 구축하고 있는 당시 현역 의원들이었다.  

최악의 기호는 '1-다'. 4명 모두 낙선했다(박세채, 안주찬, 권기만, 김도문 당시 후보). 

한편 김성현 의원(현 무소속)은 당시 구미시 전체에서 유일하게 5번(당시 민주노동당)으로 출전해 당선되었다. 

'1-가'보다 더 당선률이 높은 기호도 있었다. 바로 8명 중 7명이 당선된 7번. 당시 지방선거는 6번까지 정당 통일기호가 있었다. 진보신당이나 국민참여당의 후보가 없었던 구미에서 당시 7번은 다양한 성향의 후보들에게 돌아갔다.

2010년 구미 선거에서는 기호 7번 돌풍
8번 이하로 가면 당선률 급감
 
 
7번에는 보수와 진보, 친박연합과 무소속이 섞여 있었다. 박세진, 이수태, 윤종호 의원 등 친박연합 당선자들도 있었고, 손홍섭, 강승수(이상 현 새누리당), 김정곤(무소속) 의원 등 새누리당 출신 무소속 후보, 진보 성향 무소속이었던 김수민 의원(현 녹색당)도 여기에 포함된다. 

기호 8번을 단 6명 중에는 당시 의원 신분으로 무소속 출마했던 박교상(현 무소속), 김태근(현 새누리당) 의원 등 2명만 당선되었고, 기호 9번 후보 2명 중에는 김영호 전 의원(임기중 의원직 상실)만 당선되었다. 

선거구별로 끝번호를 단 8명 후보 중에는 김정곤, 김태근, 김영호 등 3명만이 당선되었다. '맨위가 아니면 차라리 맨밑에 낫다'는 속설도 맞아떨어진 것은 아닌 셈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변함 없이 '1-가'가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자치와 주민간의 괴리를 감안할 때 새누리당 지지자들조차도 여전히 지방의원과의 결속력이 낮은 편.

따라서 이들은 '인물 이전에 정당을 보고' 투표할 공산이 높고 그와 함께 자연히 '1-가'를 택할 개연성이 높다. 

공천권 경쟁 이상으로 '1-가'에 대한 새누리당 당내 경쟁도 치열할 것이 명백하다. 현역 국회의원과 사이가 가까운 후보들이 '1-가'로 유력히 거론되는 가운데 여성이나 약세 후보가 '1-가'로 배치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3인선거구의 경우 '1-다'는 이번에도 충분히 기피 기호로 꼽힐 수 있다. 새누리당이 3인선거구에는 2명만 공천하는 안정적 실리주의를 추구할 것이라는 설도 흘러나온다. 

야권 및 무소속이 선호하는 기호는 무엇이 될까. 4년 전 '7번'과 같은 위상을 누릴 기호로는 정당 통일기호의 바로 다음 순번인 '4번'이 회자된다. 정의당 후보가 없는 가운데 노동당, 녹색당 등의 후보는 4번 부여가 유력시된다.

야권 및 무소속 후보들 '4번이냐 끝번이냐'

야당 후보가 전무한 선거구에서는 내심 4번을 뽑기를 바라는 무소속 후보자들이 있을 전망이다. "무소속 후보 중 제일 윗칸을 차지하는 것이 상책"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홍보하기 편하다"며 가장 끝번을 원하는 후보가 여전히 있으리라는 관측도 나온다.  

기호제도가 위헌이라며 헌법재판소에 소원을 제기했던 구미 지역의 한 인사는 "원형 투표용지를 도입해 순번에 따른 효과를 차단해 표심이 굴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헌재는 그러나 현재의 기호제도가 합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한편 통합진보당에 대한 해산청구심판이 헌법재판소에서 열리는 가운데 만일 통합진보당이 해산될 경우 통일기호를 부여받지 않는 정당의 후보자나 무소속 후보자가 맨윗칸에 위치할 경우 받는 순번은 '4'가 아닌 '3'이 된다.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