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 갈 것도 없다. 하루가 멀다고 터지는 대형 참사가 이제는 일상이 되는 느낌마저 든다. 그만큼 무감각했거나 무덤덤해지는 암울한 사태가 또 벌어질까 두려우면서도, 점쟁이도 아닌 전문 경영인이 말한 내용이 자꾸 떠올라 머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아직 흘러내리는 상처의 흔적이 아물지도 않았는데, 어느 하나를 소홀하게 취급할 수 없는 악독한 재앙이다. 당한 희생자의 아픔과 재산 손실은 서민들 모두를 울리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이번 이태원 희생자의 명복을 빈다. 150명이 넘은 젊음에게 어떤 뜨거운 눈물을 흘려야 이 아픔이 사라질꼬? 세월호의 아픔도 완전히 가신 것도 아닌데…. 정부의 책임론에 대해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규제가 없었다는 말로 변명하던 장관이나 정부 책임자들의 얼굴에 침이라도 뱉어주고 싶은 마음이다.

 

 

하인리히 법칙은 1931년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가 펴낸 《산업재해 예방:과학적 접근(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A Scientific Approach)》이라는 책에서 소개되었다. 이 책이 출간되었을 당시 하인리히는 미국의 트래블러스 보험사(Travelers Insurance Company)라는 회사의 엔지니어링 및 손실 통제 부서에 근무하고 있었다. 그는 하인리히의 법칙(Heinrich's law) 또는 ‘1:29:300’의 법칙을 발표하면서 어떤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같은 원인으로 수십 차례의 경미한 사고와 수백 번의 징후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것을 뜻하는 통계적 기재를 이용하여 과학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그는 업무 성격상 수많은 사고 통계를 접했던 산업재해 사례 분석을 통해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사망자가 1명 나오면 그전에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경상자가 29명, 같은 원인으로 부상을 당할 뻔한 잠재적 부상자가 300명 있었다는 사실이었다. 즉, 큰 재해와 작은 재해 그리고 사소한 사고의 발생 비율은 1:29:300이라는 것이다.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숫자 자체가 아닌 산업재해와 그 징후의 비율이다. 이는 대부분의 참사가 예방할 수 있는 원인을 파악, 수정하지 못했거나 무시했기 때문에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금도 보험이나 기타 경영상의 문제에는 반드시 연계되는 과학적인 논리이다.

 

그렇다면 최근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일들과 이를 연결해 보자.

 8월 12일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의 80년 만의 폭우로 반지하 방의 침수와 사망 사건

 8월 30일, 31일 제11호 5등급 초대형 태풍 힌남노에 긁힌 포항 등 상처의 흔적

 9월 20일 울진 산불 1.6ha의 땅과 300여 채 주택 소실

 10월 26일 대구 매천청과시장 큰불

 10월 29일 충북 괴산군 북동쪽 11km 지역 지진 4.1(그 전날 3.5 지진)

 

한 해에 한 번만 일어나도 전 국민이 성금을 모으거나 아픔을 같이하자는 캠페인이 넘칠 만한 일들이 마치 굴비 엮듯이 잇달아온다. 도대체 이번의 이 참사들을 어떻게 읽어야 하고, 어떤 눈으로 대처해야 하며, 이후 어떤 모습의 결과로 나타나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자.

하인리히는 이런 사고에 대해서 5단계 연쇄성 이론을 발표했다. 그는 ‘1)선천적 결함, 2)개인적 결함, 3)불안전 행동, 불안전한 상태, 4)사고, 5상해’로 구분하여 사고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지역이나 내용, 장소의 결함에다 개인적인 의식 및 불완전한 장소, 상태가 사고를 만든다고 했다. 이에 버드는 5단계 연쇄성 이론을 통해 ‘1)제어 부족, 2) 기본 원인 3) 직접원인, 4)사고, 5) 상해’라는 과정을 언급하며 직접 사고가 일어났을 때 기본적인 제어 부족이 기본 원인이 자 직접 원인이라고 말했다. 애덤스는 ‘1) 관리 구조, 2)작전적 에러, 3)전술적 에러, 4)사고, 5)상해’로 사고와 상해에 대해 절차적인 설명을 했다.

각각의 내용에서 조금씩 내용에서의 차이는 있지만 사고에 대한 기본적인 그리고 직접적인 원인에 따른 제어 부족과 작전상 에러, 전술적 에러가 이런 사고를 일으키는 가장 큰 모습이라고 입을 모은다. 그런 면에서 보아 정부 관료의 뻔뻔스러운 변명과 사과 한마디를 겨우 떼어내는 데 온갖 핑계를 다 붙이는 모습에는 울분이 터질 수밖에 없다. CNN, 뉴욕 타임스의 기사에 한없는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국민의 몫인가?

 

그런데 아뿔싸! 이건 놓칠 뻔했다.

‘1:29:300’

즉, 대형 사고 하나가 있기 전에 29개의 큰 사고가 연결되어 있으며, 더 작은 300개의 사고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 300개, 29개를 거의 다 당한, 찢긴 우리에게 남은 하나는 무엇인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지 못했을 때의 모습과 지금이 너무나 닮은 것이 깜짝 놀라면서도 되풀이되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앞으로 이 정부의 모습은 어떨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글 _ 김영민 전 구미YMCA 사무총장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