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도시교통포럼, 구미YMCA, 구미 참여연대 등 성명서 발표

4일 구미도시교통포럼, 구미YMCA, 구미 참여연대 등 구미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성명서를 내고, 구미시 무선충전 전기버스의 확대에 대해 "시기상조"라고 밝혔다.

구미시는 작년도 시범 도입에 이어 올해 상반기 구미역과 구평동을 오가는 7번버스를 신설해 2대를 운영중인 무선충전식 전기버스를 내년까지 더 확대하는 등 10대까지의 확대를 계획했다. 올해 편성된 예산은 4대분 22억으로, 국비 4억, 도비 4억과 구미시 추경예산 14억이 포함되어 있다. 

과도한 비용의 문제... 과도 소음, 바닥과열 등 기술적 문제도

이 단체들은 그러나  버스 1대당 6억 5천만원, 배터리 1대분 1억~1억5천만원으로 과도한 비용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며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버스 냉방시설로 인한 과도소음, 무선충전방식으로 인한 바닥과열 등의 기술적 문제들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고, 무엇보다 잦은 고장으로 인해 운영업체에서 대차확보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 것 또한 노선투입 확대의 걸림돌이라고 강조했다. 이 단체들은 또  "버스회사에서는 5개월간 35회 대차를 했으며 혹한기에는 더 많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며 부담스러워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기버스의 무선충전방식에 대해서도 이의를 제기했다. 충전소가 있는 정류장에서의 체류시간이 20초 이내에 불과하고 무선충전소에서 충전되는 비율은 1분에 1%에 불과해, 실질적인 충전효과를 볼 수가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현재 노선 중간의 충전기 4기가 가동되지 않고 있음도 지적되었다. 

게다가 이 전기버스의 충전시간은 최소 30분으로 노선버스의 배차시간에 버스 필요대수가 적게는 10%, 많게는 40% 정도 추가로 필요하다. 배터리 잔존율이 40% 이하일 경우 운영의 안정성이 떨어져 장거리노선에서는 투입하기 어렵다는 것이 이 단체들의 주장. 서울시의 연구사례에서도 "전기버스는 25km 이하의 단거리노선에서 운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이 단체들은 전했다. 


지난 8월 25일 열린 구미시 친환경대중교통 포럼


구미시가 '세계 최초'임을 내세울 뿐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있지 않음도 지적되었다. 현재 보급중인 천연가스버스와 얼마나 조율할지는 물론, 무선충전식과 일반충전식과 배터리 자동교환식 등 충전방식을 두고 검증하는 과정도 없었다는 것이다. 

또 이들이 든 서울시의 사례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1년 친환경대중교통정책 수립을 통해 2014년까지 전기버스를 400대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지만, 위에서 지적한 것과 같은 이유들로 중장기 계획으로 전환했다. 그리고 서울시가 우선 택한 건 CNG-하이브리드 버스로 대규모 전환이었다. 반면 전기버스는 시법사업 수준으로  남산, 대공원 등의 순환노선에 한정해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단체는  "수십년간 검증이 된 일반 버스에 비해 초기단계인 전기버스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과 검증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면서,  "제대로 시범사업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검증해 나가고, 국가적 정책에 의해 진행되어야 할 사업이므로 구미시가 ‘전기버스 도입 시범도시’로 지정을 받아서 체계적인 정부지원하에 전기버스시범도시 및 전기버스 기술개발 및 생산도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국회의원, 관련부처 등의 협의를 이끌어내 국책사업으로 유도해 가야 한다"고 밝혔다. 

무선충전 자동차 비판은 어제오늘일이 아냐

한편 무선충전 전기버스를 포함해 매설된 장치로 운행중인 전기차를 충전하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2009년, 2010년경 국회에서 제동이 걸렸던 사업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연구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된 바 있다. 정부의 주요 평가기관이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대해 '타당성 없음'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2012년 11월 구미시의회로 옮겨붙기도 했다. 당시 행정사무감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김수민 당시 구미시의회의원(녹색당)은 실제 도로에 무선충전 전기버스가 다닐 경우 발생되는 전자기장이 인체에 무해한지 의문스럽다는 점, 실제 도로상에서의 효율성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점 그리고 장착 배터리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 무선충전방식의 이점이 떨어진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시민들이 실험용이냐"며 구미시를 비판하며 '도입 불가' 방침을 분명히 정했다. 그러나 해당 사업 예산 중 당시는 시비가 전혀 들지 않았기 때문에 예산 삭감을 통한 사업 백지화는 이뤄질 수 없었다. 

지난 8월 25일 구미도시교통포럼과 구미YMCA가 공동주최한 '구미시 친환경 대중교통 포럼'에서도 무선충전방식 전기버스의 운행 불안정성과 각종 부작용이 지적된 바 있다.

(관련기사/ 무선충전 전기버스에 '부정적')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