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지역은 자연스레 소득 수준 낮아져

10일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농촌 지역은 초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있고, 경상북도 역시 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반면 경북 구미시는 젊은층 인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로 분류되고,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지난 2013년 말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중 전남이 고령 인구 비율 21.4%를 기록하며 '초고령 사회'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어서 전북과 경북이 각각 17.5%를 기록했고, 강원(16.4%)과 충남(16.0%)도 고령 사회로 분류되었다. 

영호남 등 비수도권 지역의 고령화 현상 뚜렷

시·군·구 가운데서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도 전남의 고흥군(33.8%)이었다. 경북의 의성군(33.2%)과 군위군(33.2%)이 그 뒤를 이었고, 경남에서는 합천군(32.5%), 경남 남해군(31.7%)이 30%를 넘었다. 고령인구 비율 30%를 넘는, 한마디로 인구 3명 중 1명이 고령 인구인 지역은 전국의 모두 16곳. 대부분 영남과 호남의 농어촌에 집중된 상태다. 

고령 인구의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12.7%)으로 아직 '고령 사회'에 이르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 분류되었다. 대전(14.6%), 경기(14.7%), 인천(15.2%), 광주(16.5%), 서울(17.0%) 등 대도시와 수도권도 고령 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산업 시설 밀집 지역들이었다. 울산 북구(5.6%)와 울산 동구(6.1%)에 이어 경북 구미(6.4%)는 고령 인구 비율이 낮은 지역 3위로 꼽혔다. 대전 유성구(6.5%), 경기 오산(6.6%) 등도 고령 인구 비율 7% 이하로 '고령화 사회'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기할 점은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낮다는 것이다. 1인당 지역총소득이 높은 지역은 울산(5059만원), 서울(3685만원), 경기(2686만원) 등이었고, 낮은 지역은 전북(1997만원), 강원(2028만원), 제주(2240만원)였다. 이는 고령 인구 지역이 많은 경우 노동인구 및 노동생산량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구 유출 현상도 심각하게 나타났다. 지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전북은 12만7000명, 전남은 13만7000명, 경북은 8만4000명의 인구 순유출을 기록했다.

전북, 전남, 경북 인구 유출 심각... 60세 미만 대다수

지난해 전북 지역의 경우 60세 미만 인구가 3173명 빠져간 반면, 60세 이상 인구는 976명 유입됐다. 전남(60세 미만 2642명 유출, 60세 이상 336명 유입)과 경북(60세 미만 3739명 유출, 60세 이상 1874명 유입)도 마찬가지. 통계청은 전남 지역의 고령 인구 비율은 2030년 33.5%, 2040년 42.5%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경북 지역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2030년 고령인구 비율이 30.8%, 2040년에는 39.6%가 될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전망.

한국 전체가 저출산 고령화의 길을 걷는 가운데 특정 지역에서 고령화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은 도시와 농촌간의 뚜렷한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격차로 이어지고 지역 차별을 양산할 공산이 높다. 청년층의 귀촌 및 귀농 지원책을 비롯, 국토균형발전 정책이 또다시 중시되어야 할 시기다.

한편 고령 인구 비율이 적은 3위권 지역 가운데 경북 구미가 울산 북구, 울산 동구와 전혀 다른 정치 의식을 선거 결과로 나타내고 있음도 주목할 만하다. 울산 북구와 울산 동구는 1998년, 2002년, 2010년 진보정당 소속의 구청장을 배출해내던 지역인 반면, 경북 구미시는 강고한 새누리당 독주 지역이다.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