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일, 경산 남산면 평기1리에 강제 동원 희생자를 기리는 평화디딤돌이 놓였다. 사진 김연주
10월 1일, 경산 남산면 평기1리에 강제 동원 희생자를 기리는 평화디딤돌이 놓였다. 사진 김연주

 

역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알고 있는가.

나에게 있어 역사란 교과목이었으며, 시사 뉴스를 이해하는 교양 지식이었고,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사회가 구성되기까지의 흐름이나 그 맥락이었다. 그러나 평화디딤돌이 손 위에 올려진 순간, 묵직한 무게감이 가슴 한구석을 짓눌렀다. 내가 손에 들었던 역사는 교과서의 활자가 아니었고, 흐름과 맥락이라는 말로 설명될 정도로 가볍지도 않았다. 고 신용근 님의 고향과 그를 기억하는 유가족들. 그 공간이 주는 기억의 감각은 두 뼘 가까이 되는 디딤돌 동판에 한 사람의 인생의 무게를 담았다. 나는 그 순간 처음으로 언어가 아닌 역사를 마주하게 된 것이다.

2022년 10월 1일.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피해자를 기억하기 위한 ‘평화디딤돌 놓기’ 프로젝트가 경북 경산 평기 1리 마을회관에 도착했다. 감사한 기회로 프로젝트에 동참하게 되었고, ‘이 동네 사람’이라는 문구와 함께 피해자인 고 신용근 님의 성함이 쓰인 디딤돌 동판은 쾌청한 날씨 아래 나를 포함한 많은 이들의 묵념을 거쳐 유족분들 곁으로 전달되었다.

한 사람의 무게가 담긴 디딤돌이 벽에 걸리고, 유가족인 아드님이 한 말씀을 하셨다. ‘부모님께 효도하세요. 좋은 것을 사드리는 게 효도의 전부가 아닙니다. 물 한 수저 떠다 드리는 것도 효도입니다.’ 아드님의 말씀은 교과서나 역사저널에 소개된 수백 년을 관통하는 거창한 흐름도, 연설도 아니었다. 그저 한 사람의 아들로서 아버지를 그리며 내뱉는 지극히 개인적인 기억과 후회의 말이었다. 그리고 그 기억을 전해 듣는 순간 묵직하게 가슴을 누르던 오키나와 군노무 강제 동원 희생자의 이야기는 한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기억이 되었다.

나는 그동안 은연중에 역사를 몇백 년의 시간이 만들어낸 거대한 흐름이나 거시적인 힘 따위로 생각해왔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날 내가 보고 들은 역사란 지극히 한 개인에 대한 기억이었다. 역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역사란 사실 이렇게 작은 개인의 이야기가 뭉쳐 거대한 밧줄처럼 엮인 것일 뿐이었다. 거대하고 단단해 보이지만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건 가닥가닥의 이야기와 그에 대한 기억들이다.

 

평화디딤돌 놓기 참가자들과 함께. 사진 왼쪽 맨 뒷줄, 검정 마스크를 쓴 사람이 필자. 사진 김연주
평화디딤돌 놓기 참가자들과 함께. 사진 왼쪽 맨 뒷줄, 검정 마스크를 쓴 사람이 필자. 사진 김연주

 

그들은 백합공원 위령비에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동포들의 이름을 새겼다. 얼굴조차 본 적 없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어머니의 태도로 엿들었으며 그들 개개인의 기억은 어느덧 대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게까지 닿았다. 나는 이번 계기를 통해 개인의 이야기가 어떻게 기억되는지를 두 눈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기억하는 누군가에 의해 그것이 역사라는 커다란 매듭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했다. 기억은 그렇게 역사가 되었다.

 

글 _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최가은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