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9일 본격적인 더위가 찾아오려는 날, 군위 우보면 청년문화금고에서 ‘읽고쓰는군위양육자모임’이 열렸다. 이날은 민들레 147호의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교육적 관점’을 읽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달 대구 편입을 앞둔 군위군의 깊은 산골, 해발 700M에 귀농해 살아가고 있는 두 아이의 아빠 청년농부 김태현입니다.

이곳 바람이 좋은 화산마을로 귀농한 지는 벌써 2년을 채워가고 있습니다.

9살, 7살의 두 아들과 영원의 단짝 아내와 함께 산골 속에서 치유농장을 운영하며 우리 아이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양육자모임에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작년 추워지기 시작하는 계절부터 시작되어 벌써 세 번째 계절인 여름의 중간 지점에서 이번 모임을 하게 되었습니다. 흐릿했던 양육 관점을 읽고 쓰며 나누며 뚜렷하게 만들 수 있었고, 확립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었습니다.

감사한 마음을 담아 이번 모임의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 합니다.

 


 

 

최근 급격히 사회 이슈로 떠오른 학교폭력은 어느 부모에게나 피해자 또는 가해자의 입장이 되어 다가올 수 있는 사회 문제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아이들이나 부모에게는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일이 커진 후에야 본격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막상 접했을 때는 상황이 극에 달아 법적인 문제로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이 대부분일 것이다.

분명 일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기 전에 교육적인 측면에서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을 텐데 어떻게 하면 될까,라는 고민을 두고 글의 저자이신 장희숙 편집장님의 글을 빌려본다.

 

“폭력이라 규정하는 순간 그 행위를 죄악시함과 동시에 ‘가해자-피해자’의 대립 구도가 형성되고, 화해보다는 잘잘못을 따지는 쪽으로 가게 된다.” p60

“사과하고 반성하는 순간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되고 법적 처벌에 대학입시까지 망가지는데 누가 순순히 그런 선택을 하겠는가.” p63

 

최근 교육계에선 갈등을 법적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법적인 해결 자체가 마지막이 아닌 최우선이 되는 상황에서 그것은 힘 있는 누군가의 일방적인 수단이 되어 버린다.

아직은 관계 회복의 경험이 많지 않은 아이들을 위해 법이 아닌 관계 회복 방법에 집중하는 교육 시스템과 사회적 협의가 이루어진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해결 방안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사건을 공개함으로써 우리 반에서 폭력은 '공적인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다. 다른 친구의 일에 관심을 갖게 하는 일은 학교폭력 예방에도 도움이 될뿐더러 타협과 중재를 배워나가는 시민 교육이기도 하다.” p64

 

두 아이의 아빠로서, 법적인 해결과 원만한 합의가 학교폭력의 해결 방안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그러나 이번 모임을 통해 적어도 관계 회복이 우선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게 된 것은 분명 큰 소득이다. 아직은 사회적인 합의와 교육적인 제도가 필요하겠지만 우리 아이들에게 당부해야 할 말이 “절대 먼저 때리지 말아라” 따위의 비겁하고도 회피적인 말이 아니게 된 점을 감사하게 생각한다.



 

글 _ 김태현, 자연닮은 치유농장 청년 농부입니다.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