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창립 50주년 기념 ‘천문력’ 공개
2024 역서, 천문 전통 이어 1976년 첫 발행 이후 49번째
2024년은 1년이 366일, 공휴일인 빨간날은 68일

 

한국천문연구원 창립 50주년 기념 ‘2024 천문력’ 표지.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창립 50주년 기념 ‘2024 천문력’ 표지.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이 2024년 갑진년(甲辰年) 새해 역서(曆書)를 발행하고, 천문력(天文曆)을 공개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창립 50주년을 맞아 2024년 천문력(天文曆, Astronomical Calendar)를 발행하였다”며, “2024년 천문력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에는 2024년 역서를 통해 생성된 음력, 일·월 출몰시각, 천문현상 등의 정보와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등이 수록되어 있다”고 안내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누리집 알림사항 게시판을 통해 연간천문종합정보지(천문력)를 공개했다. 공개된 천문력은 공공누리 제1유형 출처 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업적 이용의 경우 달력면 천문 정보에 한 해 이용 가능하며, 천문력에 사용된 천체 사진은 저작권이 촬영자에게 있어 별도의 이용 동의가 있어야 한다.

이에 앞서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10월 20일 갑진년 새해 역서를 발간하면서 범례를 통해 “역서는 과거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매년 발행하였고, 본 역서는 그 전통을 이어받아 한국천문연구원이 올해로 49번째 발행하는 역서이다”라고 소개했다.

역서는 1945년부터 1975년까지 관상대에서 발행했다. 1976년부터는 국립천문대(한국천문연구원 전신)에서 발행해오고 있다. 조선 시대에 해마다 제작해오던 역서는 대한융희4년력(大韓隆熙四年曆)인 1910년 역서 발행을 끝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독자적인 발행이 중단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역서에는 해와 달의 출몰 시각과 남중 시각, 낮의 길이, 월령, 시민 박명·항해박명·천문박명 시각, 해의 고도와 방위각을 나타내는 일력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각 지방의 해와 달 출몰 시각과 박명 시각, 태양의 운동 및 궤도 자료, 달의 합삭·상현·망(보름)·하현 시각과 달의 운동 및 궤도 자료가 담겨 있다.

해와 달 외에 행성(수성·금성·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의 위치와 출몰 시각 자료를 비롯해 주기 혜성 자료가 실려 있다. 그 외에 별자리와 별자리표, 주요 항성표, 성단과 성운, 천문상수 자료와 태양력, 태음태양력, 우리나라 역법, 음·양력 환산표, 연대표, 세계 각 지역의 표준시 등도 함께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역서에 수록된 달, 태양, 태양계 행성 위치는 미국 나사(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천체력을 이용하여 계산했다”라며, “역서에 기재된 시각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한국 표준자오선(동경 135°)을 기준으로 한 한국표준시(KST)”라고 설명했다.

천문력과 역서에는 새해의 천문현상과 절기 등 천문 관련 정보가 담겨 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과 추분은 3월 20일과 9월 22일이다. 낮이 가장 긴 하지는 6월 21일이고, 밤이 가장 긴 동지는 12월 21일이다. 2023년 12월 22일 동지에서 2023년 하지까지의 날 수는 182일이고, 하지에서 동지까지는 183일로 하지에서 동지까지가 하루 더 길다.

 

한국천문연구원 발행 2024년 역서 ’표지‘와 ‘일력 자료’ 사진
한국천문연구원 발행 2024년 역서 ’표지‘와 ‘일력 자료’ 사진

새해에도 일식, 월식, 유성우, 행성과 달의 만남, 행성과 행성의 만남 등 다양한 천문현상이 일어난다.

새해에도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일식은 4월 9일과 10월 3일 일어나는데, 4월은 개기일식으로 멕시코, 미국 중부, 캐나다 서부지역에서 볼 수 있고, 10월은 금환일식으로 칠레 남부와 아르헨티나 남부지역에서 볼 수 있다.

월식은 3월 25일과 9월 18일 일어나는데, 3월은 반영월식으로 아메리카에서 볼 수 있고, 9월은 부분월식으로 서아프리카, 유럽, 아프리카에서 볼 수 있다.

새해에도 별똥별이 사계절 쏟아진다. 1월 4일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시작으로 4월 22일 거문고자리 유성우, 5월 6일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가 떨어진다. 7월 30일 물병자리 델타 유성우에 이어, 8월 12일에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한여름 밤을 수놓는다.

10월 21일에는 오리온자리 유성우가, 11월 5일과 11일에는 황소자리 남쪽 유성우와 북쪽 유성우가 잇달아 극대기를 맞는다. 11월 17일 사자자리 유성우, 12월 14일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극대기를 맞아 많은 별똥별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새해에는 달과 행성, 행성과 행성들이 어우러지는 하늘 잔치도 이어진다.

1월 28일에는 새벽 7시 남동쪽 하늘에서 수성과 화성이 약 0.3도까지 가까워지고, 4월 11일 화성과 토성이 다가선다. 4월 11일에는 화성과 토성이 0.4도로 가까워지면서 하나로 붙은 것처럼 보일 수 있고, 6월 28일 달과 토성이 1.1도까지 다가서며 신비로움을 더한다.

평생 한 번 보기도 어렵다는 수성은 7월 22일과 11월 16일 앞뒤로 해가 진 후 보기 좋다. 새벽 해가 뜨기 전에는 1월 13일과 5월 10일, 12월 22일 앞뒤로 좋은 날씨를 만나면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토성은 9월 8일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의 반대 방향인 충에 오면서 이때를 전후로 밤새워 토성을 보기 좋은 시기가 된다. 또한 목성은 12월 8일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의 반대 방향인 충에 오면서 이때를 전후로 목성을 보기 좋은 날이 이어진다.

새해 가장 큰 으뜸보름달은 한가위 보름달이 아닌 10월 17일 뜨는 달이고, 가장 작은 보름달은 2월 24일 뜨는 달이다. 지구는 1월 3일 오전 10시 태양에 가장 가까운 곳(근일점, 近日點)을 지나고, 7월 5일 오후 2시 근일점보다 약 500만 km가 먼 원일점(遠日點)을 지난다.

 

한국천문연구원 발행 2024년 역서 38쪽 ‘연간 일출 시각 변화’ 사진
한국천문연구원 발행 2024년 역서 38쪽 ‘연간 일출 시각 변화’ 사진

2024년 갑진년 새해의 총 휴일 수는 119일이다. 공휴일 즉 달력에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공휴일은 일요일 52일과 국경일·설날 등 공휴일 18일을 더해 70일이지만, 설날과 어린이날이 일요일과 겹쳐 68일이 되었다.

내년 공휴일에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4월 10일도 포함됐다. 주 5일제 근무를 하는 사람의 경우 공휴일 68일과 토요일 52일을 더한 120일 중 설 연휴 둘째 날(2월 10일)이 토요일과 겹치면서 모두 119일을 쉬게 된다.

새해에는 2월 29일 있는 윤년이다. 새해 3일 이상 쉬는 연휴는 다섯 차례이다. 새해 첫날이 올 연말 토요일, 일요일과 이어지면서 3일을 쉬며 한 해를 시작하게 된다. 이어 설 연휴는 2월 9일부터 4일이고, 3·1절과, 어린이날은 3일을 쉬며, 9월에 있는 한가위에는 새해 가장 긴 5일 연휴를 맞는다.

2022년부터 공식화되어 월력요항에 포함된 지방공휴일은 제주특별자치도의 4·3희생자 추념일(4월 3일), 전라북도 정읍시의 동학농민혁명 기념일(5월 11일), 광주광역시의 5·18민주화운동 기념일(5월 18일)이 안내됐다.

지방공휴일은 「지방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공서가 휴무하며, 지역 내 학교 및 기업 등에 휴업·휴무 등을 권고할 수 있다.

 

◆ 2024년 새해 사흘 이상 연속 휴무일 ◆

새해 첫날(3일) : 12월 30일 토요일부터 1월 1일 월요일까지

설날 연휴(4일) : 2월 9일 금요일부터 2월 12일 화요일까지

3·1절 연휴(3일) : 3월 1일 금요일부터 3월 3일 일요일까지

어린이날 연휴(3일) : 5월 4일 토요일부터 5월 6일 월요일까지

한가위 연휴(5일) : 9월 14일 토요일부터 9월 18일 수요일까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