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신한울 1호기 준공식이 울진에서 열렸다. 출처 경북도청
14일 신한울 1호기 준공식이 울진에서 열렸다. 출처 경북도청

 

경북지역 13번째 원전 신한울 1호기 준공식이 14일 울진에서 열렸다. 이날 준공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창양 산업통상부 장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한수원 사장, 울진 주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고 경북도는 전했다.

국내 27번째 원전인 신한울 1호기는 2005년 건설기본계획 확정 후 2010년 착공하여 올해 12월 7일부터 상업 운영을 시작했다. 경북도는 “신한울 1호기 가동으로 올겨울 전력 수급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전력 공급 능력이 지난해보다 5.5GW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신한울 1호기 연간 예상 발전량은 약 1만 424GWh로 국내 총 발전량의 1.8%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준공식에서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신한울 1호기 준공으로 경북은 국내 원전 25기 중 13기(영구정지 월성 1호기 포함)의 원전을 가동하는 국내 최대의 원전 밀집 지역으로 국가 전력수급계획과 에너지 정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지역은 울진군에 신한울 1호기를 포함하여 가압경수로 원전 7기, 경주시에 가압중수로 3기와 가압경수로 2기 등 총 12기가 가동 중이다. 현재 공정률 99%인 신한울 2호기는 내년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양이원영 의원실은 신한울 1호기 상업운전과 관련하여 8일 자 입장문을 통해 “윤석렬 정부가 안전을 무시하고 정권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우려한다”며 “국민안전과 국가산업을 위한 전력계획 수립”을 촉구했다.

양이원영 의원실은 신한울 1호기 상업운전 시행과 관련하여 2011년 후쿠시마 사고 후속대책으로 설치된 수소제거기에서 불꽃과 화염이 발생함에도 추가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과 항공기 충돌 대비 설계를 반영하지 않는 등 중대사고 관련 안전 문제를 지적했다.

또 강원도-수도권의 전력계통 포화 문제도 짚었다. 의원실은 “신한울 1호기를 빼더라도 경북 울진과 강원도에 위치한 원전과 석탄발전소들 총 12.6기가와트(GW)는 수도권으로 송전하는 송전 가능 용량 11.4기가와트(GW)를 이미 초과”했다며 “신한울 1호기 상업운전으로 송전하지 못하는 전력량은 더 늘어났으며, 원전 가동을 위해 다른 발전소 전기 생산을 더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신규 원전의 상업운전 시행과 관련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경북도는 원전 사업 추진에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준공식에 보낸 축사를 통해 윤석렬 대통령은 ‘탈원전 정책 폐기’를 선언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전 업계를 위해 올해 1조 원 이상의 일감과 금융, 연구개발(R&D)을 긴급 지원했다. 내년에는 그 규모를 2조 원 이상으로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난 정부에서 중단했던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 재개’를 언급하며 원전 건설을 통해 “침체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행복 경북을 건설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석렬 대통령이 ‘원전산업 재도약’을 공언한 가운데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신한울 3, 4호기 포함 울진군에 핵발전소 10기를 가동한다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라며 “원전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건 구시대적인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상홍 국장은 “문재인 정부는 원전 수명을 연장하지 않고,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는다는 원전 축소 정책을 사회적 합의를 거쳐 발표했다. 현 정부의 원전 확대는 다수 국민의 사회적 동의를 구하지 못한 채 핵산업계 배만 불리기 위한 진흥 정책”이라며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만 계속 피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 상업 운영하는 핵발전소 25곳 가운데 경북, 부산, 울산 등 영남 권역에 원전 19기가 가동 중이다. 2023년 준공을 앞둔 신한울 2호기와 2024년과 25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신고리 5·6호기 등 원전 3기가 추가되면 영남 지역 가동 원전은 총 22곳으로 늘어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